티스토리 뷰
반응형
1. 신라 말기의 사회 변동
- 진골 귀족들은 골품제에 집착하면서 족당을 형성하여 왕위쟁탈전을 시작하면서 왕권은 약화되고, 상대등의 세력이 강화되면서 사회가 혼란스러웠다.
- 지배층의 녹읍 부활, 사원의 면세전 증가, 귀족들의 토지 사유화, 과도한 수취 제도로 토지를 읽고 노비가 되거나 초적이 되는 농민들이 발생하였다.
- 조세의 독촉으로 몰락한 농민들이 반란 일으키게 되었고, 상주(사벌주)에서 발생한 원종과 애노의 난을 계기로 전국적으로 농민항쟁이 확산되었다.
중앙(8세기 말) | 지방(9세기 초 · 중기) | 전국(9세기 말) |
◎ 진골 귀족들의 왕위 쟁탈전 시작 ◎ 혜공왕 - 대공·대렴의 난(768) - 96각간의 난(768) - 김지정의 난(780) |
◎ 지방으로 왕위 다툼이 확산 됨 ◎ 헌덕왕 - 김헌창의 난(822) - 김범문의 난(825) ◎ 희강왕: 김명의 난 ◎ 문성왕: 장보고의 난(846) |
◎ 전국적 봉기 발생 및 중앙정부의 통제력 상실 ◎ 진성여왕 - 원종과 애노의 난(889): 농민반란의 시초 - 기훤(889, 죽주): 경기도 안성, 궁예는 기훤의 부하였으나, 궁예에게 정복당함 - 양길(889, 북원경): 강원도 원주, 견훤에게 비장이라는 벼슬을 받음 - 견훤의 난(892, 완산주): 군진과 호족세력을 중심으로 서해안의 해상세력과 초적세력도 흡수함 - 적고적의 난(896) - 궁예(송악): 양길의 부하로 북진, 패강진과 연결하여 대규모로 조직 항쟁을 하였다. |
2. 신라 말기 정치 변동
1) 진골 귀족
- 골품제도에 집착하며 특권적 지위만을 유지하며 족당(귀족 연합)정치가 운영되어 상대등의 권력이 강화되었다.
2) 호족
- 사회가 혼란해 지면서 지방에서 호족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세력이 성장하고 있었다.
- 중앙 정부의 통제에서 벗어나 반독립적인 세력으로 성장하였다.
- 반신라적인 사상으로 선종, 유교, 풍수지리설 등을 수용하여 6두품과 결탁하였다.
- 자기 근거지(지방세력)에 성을 쌓고 군대를 보유하며 군사권을 장악하여 스스로 성주 또는 장군이라고 하였다.
- 농민들에게 조세와 역을 부과하는 경제적 지배권과 행정권을 행사하였다.
- 중앙 행정 조직을 모방한 관반제를 시행하여 독립된 지배체제를 확립하였다.
- 중앙의 몰락한 귀족, 지방 촌주, 해상 · 군진 · 지방군 출신의 군사 · 사원 · 초적 세력* 등 유형이 다양하였다.
- 호족 세력의 영향으로 권력의 분권화 경향이 나타났다.
◎ 호족 출신 유형
▷ 중앙 귀족 출신: 권력 투쟁에서 밀려나 지방에서 세력을 키운 몰락한 중앙 귀족으로 김주원 등이 있다.
▷ 해상 세력: 당 · 일본과의 무역에 종사하면서 재력과 무력을 축적하며 성장한 세력으로 작제건이 해당한다.
▷ 군진 세력: 변방 수비를 위한 군대가 사병 세력으로 변질되었고 장보고가 대표적인 인물이다.
▷ 초적 세력: 몰락한 농민과 하층민을 중심으로 한 농민 반란군이 지방세력으로 변하거나 흡수하여 생겼으며 양길, 궁예 등이 있다.
▷ 촌주 출신: 지방 토착 세력인 촌주 출신이 성장한 세력이다.
3) 6두품
- 골품제로 정치적 진출을 제한이 있었던 6두품은 신라 중대에 왕권과 결합하여 진골에 대항하여 여러 개혁과 새로운 정치 이념을 제시하였으나 진골 귀족에 의하여 수용되지 못했다.
- 신라 하대에는 은거하거나 호족 세력과 결탁하여 반 신라 세력이 되어 사회 개혁을 추구하였다.
- 인물
- 최치원: 당에서 유학하며 빈공과에 급제하였다. 당에서 <토황소격문>으로 문필의 대공을 세우고 귀국하여 진성여왕에게 시무 10조를 작성하여 건의하였다. <계원필경(현존 최고 문집)> , <제왕연대력>, <중산복궤집>, 4산 비문(지증, 진감, 낭혜, 대숭복사비)를 집필하였으며, 호는 고운으로 고려 현종 때 문창후에 추시 되어 문묘에 배향(1020)되었다.
- 최승우: 당에서 유학하며 빈공과에 급제하였다. 귀국 후 견훤의 책사 역할을 하면서 927년에 후백제 왕 견훤을 대신하여 지어 고려 왕건에게 보낸 서신 '대견훤기고려왕서'를 작성하였다.
- 최언위: 당에서 유학하며 빈공과에 급제하였다. 경순왕이 고려에 투항하자 고려의 문신으로 활동하며 '낭원대사오진탑비명'을 지었다.
- 김운경: 821년 헌덕왕 때 빈공과에 최초 합격하였다.
4) 선종
- 견성오도, 불립문자, 교외별전을 기조로 골품제를 비판하며 호족과 연계하였다.
5) 기타
- 6두품 및 도당 유학생에게 유학이 유행하였으며, 풍수지리설(도선*), 도교, 노장 사상 등이 유행하였다.
◎ 도선(827~898)
선종의 9산 선문 중 하나인 동리산문의 승려로 음양 풍수설의 대가이다.
개성, 평양, 한양이 국가의 중심지가 될 것을 예언한 인물이다.
반응형
'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한국사] 고대 경제 (1) | 2023.09.11 |
---|---|
[한국사] 고대 사회 (1) | 2023.09.11 |
[한국사] 발해의 정치 변화와 발전 (0) | 2023.09.11 |
[한국사] 통일 후 신라의 정치 변화와 발전 (0) | 2023.09.11 |
[한국사] 신라의 삼국 통일 과정 (0) | 2023.09.11 |